hifinet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hifinet

메뉴 리스트

  • Home
  • Link
  • 분류 전체보기
    • 공지사항
    • 뉴스
    • 포커스
    • 하드웨어리뷰
    • 컬럼
    • Link

검색 레이어

hifinet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하드웨어리뷰

  • 마크레빈슨 No.5101 스트리밍 SACD 플레이어

    2021.07.11 by hifinet

  • KEF LS 50 Meta 스피커

    2021.02.11 by hifinet

  • MSB M500, S500 모노블럭, S202 스테레오 앰프

    2021.02.11 by hifinet

  • 무적의 저음. 인빈시블 서브우퍼

    2021.02.10 by hifinet

  • 오렌더 N20 고음질 캐싱 뮤직 서버 / 스트리머

    2021.02.08 by hifinet

  • 레벨 퍼포마 F328Be 스피커

    2021.01.27 by hifinet

  • 이데온 오디오 아야지Mk1 / Mk2 DAC

    2018.05.11 by hifinet

  • 디지털앤아날로그 칼릭스 M

    2015.08.14 by hifinet

마크레빈슨 No.5101 스트리밍 SACD 플레이어

1997년도에 출시된 마크레빈슨의 일체형 CD 플레이어인 No.39($5995)와 2004년도에 출시된 후속기종인 No.390S($6700)은 엔트리급 모델임에도 아름다운 곡면의 전면 디자인과 정교한 만듦새, 안정적인 밸런스, 부드러운 음색으로 인기가 높았다. 현재 디지털 소스 기기로 2만 달러 가격의 하이엔드 CD플레이어/스트리머인 No.519($20,000)모델이 있는데, 여기에도 9라는 모델 번호를 붙인 이유를 짐작해볼 수 있다. No. 519 모델의 골격은 남겨두고 비용과 새시를 간소화해서 가격을 다운시킨 모델이 No.5101 스트리밍 SACD 플레이어로 보인다. 먼저 현재 시점의 마크레빈슨의 라인업을 살펴보면 대략 5개 카테고리로 구분된다. 1) 스트리밍 CD 플레이어 : No.5101 / No..

하드웨어리뷰 2021. 7. 11. 12:58

KEF LS 50 Meta 스피커

오리지널 모델인 KEF LS50은 2012년도에 출시된 창립 50주년 기념 스피커였다. 5.5인치 우퍼를 탑재한 소형 스피커임에도 이례적으로 스테레오파일 매거진에서 추천기기 A등급에 올리면서 화제가 되었고, "이처럼 선명하면서도 중립적인 소리를 내는 스피커는 찾기 어렵다. 다이내믹 레인지와 베이스 익스텐션의 한계는 있지만, 작은 방에서는 클래스 A 사운드를 제공한다."는 격찬을 받았다. 그동안 와이어리스 버전 등이 출시되긴 했지만, 8년이 지나서야 LS50 Meta 버전을 출시했다. 사실 8년이라는 시간은 하이엔드 오디오에서는 그리 길지 않다고 할 수 있다. 심지어 이 스피커의 조상 격이라고 볼 수 있는 LS3/5 스피커는 제작사가 KEF를 비롯해 로저스, 스펜더, 하베스 등으로 여러 차례 변경되었을 뿐..

하드웨어리뷰 2021. 2. 11. 10:45

MSB M500, S500 모노블럭, S202 스테레오 앰프

MSB 테크놀로지의 DAC는 볼륨과 아날로그 입력을 제공해서 프리앰프 없이 직접 파워앰프를 구동하도록 만들어졌기 때문에 짝이 되는 파워앰프의 등장 역시 필연적이라 하겠다. 최초의 MSB의 파워앰프는 S201 스테레오 앰프인데 홈페이지의 사진으로 확인해보면 MSB 플래티넘 DAC의 파워서플라이 새시를 3대 쌓아서 만든 것처럼 보인다. 그 다음 제품인 M204 모노블럭은 A클래스 앰프로 과거 패스 랩의 앰프처럼 방열판을 노출시킨 디자인으로 만들어졌다. 이 제품까지는 디자인은 고려 대상이 아니었고 오직 음질에 집중하여 만들어진 매니아 지향의 제품으로 보인다. MSB 테크놀로지에서 셀렉트2 DAC 이래 레퍼런스, 프리미어, 디스크리트 DAC를 출시하면서 새로운 디자인의 DAC 라인업이 완성되고 이에 매칭될 신제..

하드웨어리뷰 2021. 2. 11. 08:32

무적의 저음. 인빈시블 서브우퍼

YG 어쿠스틱스에서 21인치 우퍼를 탑재한 초대형 서브우퍼를 출시. 싱글 우퍼 구성의 21.1(5만 5천달러)과 듀얼 드라이버 사양의 21.2(11만 달러) 모델로 구성된다. 싱글 우퍼 사양은 카멜2같은 작은 스피커와 매칭해서 사용 가능하고 듀얼 드라이버 모델은 소냐XV까지 다양한 스피커들과 조합이 가능하도록 만들어졌다. 듀얼 드라이버 21.2 모델은 사람키와 같은 177cm 높이를 자랑. 우퍼가 위 아래에서 서로 마주보고 저음을 밀어내는 푸쉬-푸쉬 방식이다. 캐비닛에서는 마치 KEF나 비비드 오디오의 포스 캔슬링 우퍼처럼 진동을 서로 상쇄해서 억제하는 효과도 기대해볼 수 있겠다. YG 어쿠스틱스 특유의 BilletCore 진동판은 66파운드의 알루미늄 덩어리를 CNC 머신으로 5시간 가공해서 불과 14..

하드웨어리뷰 2021. 2. 10. 20:51

오렌더 N20 고음질 캐싱 뮤직 서버 / 스트리머

오렌더는 현재 전세계 오디오파일들에게 최정상의 뮤직서버 제품으로 음질과 기능 면에서 독자적인 영역을 구축해가고 있다. 특히 가요에 대한 접근성이 우수한 벅스나 멜론의 스트리밍 서비스를 지원하는 부분이 국내 사용자들에게 크게 어필된다고 하겠다. 오렌더는 거의 뮤직 서버 분야에 집중하고 있지만, 그럼에도 제품군이 꽤 다양하다보니 리뷰마다 별도의 소개가 필요할 정도다. 오렌더 제품군의 출발은 1)플래그십 제품으로 배터리 전원의 뮤직 서버 W20, 2)스트리밍 플레이를 중시하고 리니어 파워를 적용한 N10, 3)스위칭 파워를 탑재하고 입력 단자를 USB나 S/PDIF로 전문화한 입문기인 X100 이상의 3가지 모델로 나눠볼 수 있다. 여기서 발전된 W20SE, N10/20/30, N100C/N100H/N100S..

하드웨어리뷰 2021. 2. 8. 21:09

레벨 퍼포마 F328Be 스피커

레벨 스피커는 하만 럭셔리 그룹 소속으로 가장 최상위에 위치한 스피커 브랜드다. 레벨 브랜드의 런칭을 주도한 스피커 디자이너 케빈 벡스(Kevin Voecks)는 1980년대 중반부터 스넬 어쿠스틱스의 스피커를 설계하면서 캐나다의 National Research Council의 음향 연구 장비를 활용해 스피커 측정치와 음질에 대한 연구를 진행한다. 나중에 하만 그룹이 마크레빈슨 브랜드를 인수하면서 이와 매칭할 스피커 브랜드를 고민하게 된다. 케빈 벡스의 회고에 따르면 당시 최고의 앰프 브랜드로 손꼽히던 마크레빈슨과 어울릴만큼 기술적으로 뛰어나면서 하이엔드의 소울을 지닌 스피커 브랜드는 없었다고 한다. 그래서 하만이 만든 바로 두 번째 브랜드가 레벨이다. (그 전까지 하만이 직접 런칭한 유일한 브랜드는 우..

하드웨어리뷰 2021. 1. 27. 16:54

이데온 오디오 아야지Mk1 / Mk2 DAC

현실적인 가격으로 하이엔드 사운드를 들려주는 가성비 만점의 DA 컨버터 이데온 오디오(Ideon Audio)는 2015년도에 오디오파일인 엔지니어가 포함된 팀으로 구성된 그리스 회사다. 수석 엔지니어는 바실리스 토우나스(Vasilis Tounas)라는 인물이다. 회사의 이름은 그리스 신화에서 제우스신이 태어난 곳으로 알려진 Ideon 동굴에서 따왔다. 이데온 동굴은 크레타 섬의 중심부에 위치한 이다(Ida) 산에 있다. 회사 로고도 동굴이 위치한 산의 형태로 디자인된 것 같다. 이데온 오디오의 오디오 철학은 자신의 기술과 경험, 그리고 노력을 통해 음악과 감상자가 연결될 수 있는 제품을 만들겠다는 것이다. 그러려면 제품 가격은 적당해야 하고 사용하기에 쉬워야 한다고 설명하고 있다. 비싸지 않은 제품을 목..

하드웨어리뷰 2018. 5. 11. 15:06

디지털앤아날로그 칼릭스 M

최근 여러 종류의 Hi-Res Portable-DAP( Digital Audio Players)들이 출시 되고 있다. MP3/AAC계열의 저해상도/저용량 압축 음악 파일을 재생하는 것이 I-pod을 비롯한 1세대 P-DAP였다면, 96Khz/24bit이상의 PCM 음악파일(무손실 압축으로 알려진 FLAC을 포함) 및 DSD 파일을 재생할 수 있도록 설계된 2세대 P-DAP라 할 수 있다. Neil Young의 주도로 만들어진 Pono가 제품이 출시되기 이전부터 화제를 만들며 2세대 P-DAP의 등장을 알렸다면 국내제작사인 Astell & Kern과 Digital & Analog사의 제품들이 좋은 평을 받으며 전세계 오디오파일들의 관심을 받고 있다. 사실 Portable한 player들은 이미 소니의 Wa..

하드웨어리뷰 2015. 8. 14. 15:33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2 3 4 ··· 73
다음
TISTORY
hifinet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